메뉴 건너뛰기

HOT 뉴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장애인 예술인 중 절반이 발달장애인, 체계적 지원 제도 필요
‘2018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조사’ 결과 발표회 열려
 복지관 등 문화예술프로그램 통한 유입 가장 많아
 
 등록일 [ 2019년08월10일 12시53분 ]
 1565409814_99270.jpg

9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등의 주최로 ‘2018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조사’ 결과 발표회가 열렸다. 박근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수석전문위원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 강혜민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조사 결과, 발달장애인들이 예술 활동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기존에 치료 목적으로 인식되던 복지관에서의 문화예술프로그램이 주 유입로가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통해 발달장애인에 대한 예술 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제도를 마련하고, 복지관 프로그램을 장애인 예술 활동의 현장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9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등의 주최로 ‘2018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장애인 예술활동 여건 개선을 논의하는 토론회가 열렸다.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은 장애인 문화예술의 진흥을 위하여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재단법인이다.

 

‘2018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조사’는 장애인의 문화예술활동 현황 및 창작 여건 등을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실태조사는 장애인 문화예술단체 및 장애인 관련 기관 2,119개 중 944개를 대상으로 모집단을 구축, ‘장애 예술인’과 ‘장애인 예술활동가’로 나누어 조사했다. 그 결과 장애 예술인은 5,972명, 장애인 예술활동가는 25,722명으로 추정되었다. 장애 예술인, 장애인 예술 활동가를 대상으로 모집단 규모와 예술활동 현황을 파악하는 실태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장애 예술인’은 △협회 소속 여부 △예술 활동 증명 여부 △수상 경험 △전국단위 행사 초청 여부 △예술인으로서의 인식 등 5가지 기준에서 1가지 이상 해당하는 사람으로 정의했다. ‘장애인 예술활동가’는 2018년 한 해 기관·협회·단체에서 진행하는 문화예술 분야의 프로그램에서 창작활동을 하여 발표, 출판, 전시, 공연을 한 경험이 있는 사람으로 정의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모집단에서 장애 예술인 416명, 장애인 예술활동가 584명을 표본 추출해 지난 3월 25일~5월 3일까지 방문 면접으로 조사했다.

 

- 장애 예술인, 평균 활동 기간 7.6년… “전문 교육 필요하다”

 

장애 예술인의 경우, 장애유형은 지적장애(35.1%), 지체장애(23.4%), 자폐성장애(13.9%) 순으로 많았다. 이들 활동 분야는 서양음악(38.3%)이 가장 많았고 문학(18.0%), 미술(17.2%), 무용·연극 등 공연 분야(5% 미만)가 뒤를 이었다. 평균 활동 기간은 7.6년이었는데 지체장애와 시각장애가 8.7년으로 가장 길었으며, 뇌병변장애가 6.6년으로 가장 짧았다. 이들은 주로 복지관 등에서 하는 교육 프로그램(68.5%)을 통해 예술 활동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열 명 중 아홉 명은 창작 및 실연(90.9%)으로 예술활동을 하고 있었다.

 

최근 3년간 출판·발표·공연·전시를 한 평균 횟수는 10.6회였는데 이중 시각장애(17.2회), 지체장애(16.5회)가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전문 예술교육은 주로 그룹지도(42.6%), 개인레슨(23.0%)을 통해서 이뤄졌다. 전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선 ‘필요하다’는 응답이 절반(매우 필요함 25.9 %, 필요함 18.6%)에 달해 교육에 대한 목마름을 여실히 보여줬다.

1565409832_45124.jpg

전문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장애 예술인의 답변

 


 

예술 활동 어려움 중 교육 부문에 있어서 전문교육인력 부족(40.9%)을 가장 큰 문제로 꼽았으며, 교육기관의 부재(24.4%), 시설 및 기자재 부족(18.2%), 정보 부족(12.8%)이 뒤를 이었다. 창작 및 발표에 있어서는 발표·전시·공연 시설 부족(29.9%), 연습·창작공간 부족(21.6%) 장애예술인 시설·장비 부족(13.7%)과 같은 물리적 접근성이 큰 어려움으로 지적되었고, 이와 함께 장애예술을 즐길 향유층 부족(9.1%)도 어려움으로 꼽혔다. 공간 이용에 있어서는 공간 구조·형태가 활동에 부적합(26.4%), 장애인시설 미비(21.8%), 높은 대관 비용(12.9%), 접근성(9.9%)이 어려움으로 지적되었다.

 

지난 1년간 문화예술 행사 관람 경험에 대해서는 열 명 중 여덟 명만이 있다(82.3%)고 답했는데, 영화의 비율(62.7%)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서양음악(37.1%), 미술전시회(35.4%), 연극(27.0%) 등이 뒤를 이었다. 관람이 어려운 이유로는 비용 부담(43.9%)이 가장 컸고 장애인 편의시설 부족(18.7%), 교통 불편(15.8%)도 높은 순위에 있었다.

 

예술 활동에 필요한 지원으로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창작 기금·수혜자 확대가 가장 필요하다(66.3%)고 답했다.

 

- 장애인 예술활동가, 지적장애 압도적으로 많아… 복지관 프로그램 계기로 참여 

 

장애인 예술활동가의 장애유형에서도 지적장애(41.3%)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지체장애(25%), 자폐성장애(9.2%) 순이었다. 활동 분야는 서양음악(22.0%), 미술(19.0%), 공예(14.0%), 대중음악(12.9%) 등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1565409856_82069.jpg

장애인 예술활동가 장애 유형 비율

 


 

평균 활동 기간은 4.1년으로 시각장애가 6.3년으로 가장 길었고, 청각장애·언어장애가 2.1년으로 가장 짧았다.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지적장애는 3.9년으로 전체 평균 활동 기간과 엇비슷했다.

 

이들 역시 대다수는 복지관 등의 교육프로그램(94.1%)으로 예술 활동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창작 및 실연(83.5%)으로 예술활동을 하고 있었다. 절반 이상이 전문예술교육이 필요하다(필요함 45.1%, 매우 필요함 13.8%,)고 답했다.

 

이들은 발표·전시·공연 시설 부족(23.9%), 연습·창작 공간 부족(21.2%), 장애예술인 시설·장비 부족(11.5%)으로 창작 및 발표에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지난 1년간 문화예술 행사 관람 경험이 있다(76.3%)고 답한 비율은 장애예술인보다는 낮았는데, 관람 형태는 이들 또한 영화(59.5%)가 가장 높았고 미술전시회(31.3%), 연극(23.5%), 전통예술(20.5%), 뮤지컬(19.5%)이 뒤를 이었다.

 

- 지체, 시·청각장애 중심이었던 예술활동 연구, ‘발달장애’ 재조명 의미 있어

 

이날 실태조사 결과 발표를 한 박근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수석전문위원은 발달장애인의 예술 활동을 조명하고, 장애인의 예술 활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었던 것을 실태조사의 큰 의미로 짚었다.

 

박 전문위원은 “발달장애인 예술인은 전체 장애 예술인 중에선 49%, 장애인 예술활동가에서는 68%를 차지한다. 기존 장애인 예술활동 연구가 지체장애, 시각 및 청각장애인 중심으로 조사되었는데, 그동안 관심받지 못했던 발달장애인(지적장애, 자폐성장애)의 예술활동 현황을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장애인 예술활동 경로로 복지관과 같은 시설에서의 예술 교육 프로그램이 압도적 비율을 차지했는데, 이에 대해서도 “복지관 및 시설을 장애인들의 예술활동의 기반이자 예술활동의 현장으로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개선 방안에 대한 제언도 이어졌다. 박 전문위원은 “발달장애인의 예술활동 증진을 위한 종합정책이 필요하다”면서 “의학, 특수교육, 학자, 예술가 간의 학제 간 연구개발로 발달장애인의 특성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및 창작 기회 제공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체계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애인 문화예술 매개자 양성도 시급하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대상자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한 전문가를 양성하고, 복지관 등의 시설에서 장애인의 예술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할 수 있는 인력을 파견해 현장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나아가 ‘접근성 정보센터’(가칭)를 통해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어서비스, 공연자막 제공, 음성안내 기기 제공 및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안내 서비스, 이동장애인을 위한 슬로프 대여 등 접근성 향상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올려 0    내려 0  
 


강혜민 기자 skpebble@beminor
 
 
 


  1. ‘시설 민주화는 허구’ 보여준 청암재단 사태… 면담도 ‘결렬’ (비마이너, 2021.12.29.)

    ‘시설 민주화는 허구’ 보여준 청암재단 사태… 면담도 ‘결렬’ 기자명 이가연 기자 입력 2021.12.29 21:17 수정 2021.12.29 22:41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시설 민주화 노력에도 인권침해 ...
    Date2021.12.31 By성동센터 Views245
    Read More
  2. [2021년 결산] 비장애중심사회를 멈춰 세우다 (비마이너, 2021.12.28.)

    이동권 투쟁 20주년, 자립생활 권리 요구하며 버스·지하철 점거 정부의 탈시설로드맵 발표로 더욱 선명해진 탈시설의 전선 새로운 노동 개념 제시한 권리중심공공일자리, 전국화 꾀해 마스크를 끼고 두 해째 살아가고 있습니다. 2020년 12월 말, 서울 ...
    Date2021.12.31 By성동센터 Views177
    Read More
  3. ‘장애여성다움’에 가둔 그 보호는 가해였다 (한겨레21, 2021.12.19.)

    보호라는 이름으로 합리화하는 통제와 차별…가부장적, 비장애중심적 가해와 피해 인식 넘어서야 장애여성이 겪는 폭력은 일상적이며 제도적이다. 그동안 묵인돼온 차별과 불평등한 권력관계를 드러내는 것에서부터 변화는 시작된다. 연합뉴스 여성살해 ...
    Date2021.12.21 By성동센터 Views177
    Read More
  4. 출근길 5호선 장애인 시위, 다 기획재정부 탓입니다 (비마이너, 2021.12.20.)

    교통약자법 개정안 통과 가능성 커졌지만 기재부, 예산 편성 불가하다며 개정안 반대 중 “왜 ‘일반인’ 출근하는데 피해를 주는 거야? 개새끼들, 오늘 내가 다 죽여버릴 거야! 출근 좀 하자, 시발놈들아!” “민주주의 국가에서 이...
    Date2021.12.21 By성동센터 Views295
    Read More
  5. 종합조사표로 둔갑한 장애등급제, 화형에 처하다

    ‘기획재정부=설계자’, ‘보건복지부=장물아비’, ‘종합조사표=종합조작표’ 1842일의 농성을 함께한 김주영의 9주기, 그러나… 26일, 여의도 장애인권리보장법·탈시설지원법 제정을 촉구하는 농성장이 있는 이...
    Date2021.11.02 By성동센터 Views168
    Read More
  6. 죽은 김주영이 말한다 “사람 죽이는 종합조사표 개편하라”

    장애등급제 폐지 후 문재인 정부가 도입한 ‘종합조사표’ 최중증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시간 오히려 감소해 장애계 “사람 죽이는 표, 장애등급제는 폐지 안 됐다” “더는 김주영 동지 같은 황망한 죽음 없어야” “활동...
    Date2021.11.02 By성동센터 Views158
    Read More
  7. 장애해방운동가 생애기록 - 전사들의 노래

    [기획연재] 장애해방운동가 생애기록 ‘전사들의 노래’ [서문] ‘시작’을 만들고 ‘다음’을 조직한 ‘전사들의 노래’ 2021. 10. 05 by 강혜민 기자 2001년 8월 29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버스를 점거한 장...
    Date2021.11.02 By성동센터 Views150
    Read More
  8. 내년 6월 활동지원 ‘시한부’ 산정특례 종료, 대책 없는 정부(비마이너, 2021.10.06.)

    [2021 국감] 종합조사 3년 산정특례 후 대책 없어… 불안한 9710명 정부는 ‘이의신청 제도 이용하라’지만 ‘근본적인 대책 아냐’ 종합조사 개편 후 8333명, 최대 241시간 하락 하루 16시간 받는 최중증장애인은 전국 5명에 불과...
    Date2021.10.08 By성동센터 Views140
    Read More
  9.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60년 만에 폐지 아닌 ‘완화’… 현장 혼선 우려 (비마이너, 2021.10.01.)

    2020년 7월 3일, 박능후 전 복지부 장관은 중앙생활보장위원회 회의가 열린 코리아나 호텔 앞에서 “(부양의무자기준을) 2년 뒤에 폐지하는 것으로 약속하고 있다. 우리가 가는 방향은 동일하다. 시간과 시기의 문제인데, 최대한 노력해서 빨리 진행하도...
    Date2021.10.08 By성동센터 Views160
    Read More
  10. 장애인 이동권 투쟁 20주년 사진전 '버스를 타자' (전장연, 다음-카카오)

    (장애인 이동권 투쟁 20주년 사진전 다음-카카오 페이지 캡쳐) 사진전 보러가기 : https://gallery.v.daum.net/p/premium/mobilityright 혹은 사진 클릭 장애인 이동권 투쟁 20년의 기록 2001년 1월 22일 오이도역에서 휠체어리프트를 이용하던 장애인 노부부...
    Date2021.06.24 By성동센터 Views180
    Read More
  11. 2021년 4월 30일, ‘향유의집’ 폐쇄되던 날 (비마이너, 2021.05.01)

    ‘마로니에 8인’과의 동행 “한없이 커 보였던 시설이 이젠 되게 작아 보여” 사람들이 향유의집 본관 3층에서 2층으로 이어지는 경사로를 내려오고 있다. 가장 앞에는 김동림 씨가 있다. 사진 강혜민 층과 층 사이는 계단이 아닌 매끄러...
    Date2021.05.12 By성동센터 Views282
    Read More
  12. 장애인콜택시 고작 ‘17대’인데, 증차 계획 없다는 세종시

    세종시 특별교통수단인 누리 콜은 17대에 불과하다. 세종시 전체 장애인은 1만 2000명이며 이중 중증장애인은 4500명이다. 17대는 국토교통부(아래 국토부)가 정한 중증장애인 ‘150명당 1대’라는 특별교통수단 기준인 30대에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세종시는 ...
    Date2020.09.24 By성동센터 Views279
    Read More
  13. 서울시, 10월부터 ‘장애인거주시설 변환사업’ 시범사업 시행/시설 장애인 지역사회로 자립, 시설은 폐쇄 후 주거서비스기관으로

        서울시가 장애인거주시설을 새로운 주거서비스 모델로 바꾸는 ‘장애인거주시설 변환사업(아래 변환사업)’ 시범사업을 첫 시행한다. 변환사업은 거주시설에 있는 장애인이 지원주택 등 자립생활을 시작하고, 기존 거주시설은 폐쇄 후 지역사회 기반 주거서...
    Date2020.09.18 By성동센터 Views299
    Read More
  14. No Image

    확산하는 코로나19, 장애인 어디에 도움 청해야하나?

    코로나19에 걸린 장애인이 어떻게 검사를 받을 수 있는지를 점검해 보았다. 먼저 나는 영등포에 살고 있어 영등포보건소에 문의했다. 보건소 직원은 관련 전화를 많이 받아 그런지 힘이 없었고 의례적인 답만 내놓았다. 메뉴얼은 의심증상이 있으면 개인차량...
    Date2020.09.16 By성동센터 Views223
    Read More
  15. 복지부, 전국 628개소 장애인거주시설 전수조사한다

    복지부, 전국 628개소 장애인거주시설 전수조사한다 전수조사 위한 조사원 모집도, 20명 이상은 장애인 당사자로 구성 코로나19 확산 방지 위해 대면·비대면 조사 혼합 진행   등록일 [ 2020년09월09일 18시33분 ]     장애인 활동가들이 “국가 탈시설 로드맵...
    Date2020.09.15 By성동센터 Views176
    Read More
  16. 장애인 보조기기 손해보험상품 가입비 지원

    장애인 보조기기 손해보험상품 가입비 지원 이종성 의원, ‘장애인 등의 이동 편의 증진 법안’ 발의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20-09-10 09:14:37 ▲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에이블뉴스DB 장애인 등이 전동휠체어 등 보조기기‧보철구로 인한 피해보상을 담보할...
    Date2020.09.14 By성동센터 Views155
    Read More
  17. 장애인 콜 택시 감염병메뉴얼

             
    Date2020.09.11 By성동센터 Views142
    Read More
  18. 코로나 4차 추경, “장애인은 버림받았다 / 이종성 의원, 죽음 내몰지 않도록 예산 포함해야한다.

    이종성 의원, 죽음 내몰지 않도록 예산 포함해야한다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학 산으로 인한 4차 추가경정 예산안을 발표한 가운데, 장애인 당사자인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이 10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는“3차에 이어 4차 ...
    Date2020.09.11 By성동센터 Views147
    Read More
  19. 내년 정부예산안 속 장애인 관련 특색사업

    내년 정부예산안 속 장애인 관련 특색사업 발달·중증장애인 복합힐링센터, 출퇴근 비용 지원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20-09-10 14:55:33 ▲ 홍남기 기획재정부 장관이 내년 예산안을 브리핑하고 있다.ⓒ기획재정부 정부가 내년 예산안을 올해 대비 43.5조원(...
    Date2020.09.11 By성동센터 Views148
    Read More
  20. 추석 승차권 비대면 예매 장애인 우선배정

    한국철도는 명절승차권 현장발매 폐지에 대한 대책으로 인터넷과 모바일 사용이 어려운 장애인과 노인 등 IT 취약계층을 위한 예매일(9월 1일)을 별도로 마련하고 전체 좌석의 10%를 우선 배정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예매 첫날인 9월 1일에는 노인이나 장애...
    Date2020.09.11 By성동센터 Views15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