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HOT 뉴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점점 거세지는 혐오 표현 제지 위해 “정부 역할 가장 중요해” 
법무부, 제5회 국제인권심포지엄, ‘혐오표현의 확산,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열어
 국민 10명 중 7명 혐오표현 경험… “혐오표현이 혐오범죄로 이어질 것 81.8%” 전망 
 
 등록일 [ 2019년08월30일 18시00분 ]
 1.jpg

제5회 국제인권심포지엄 ‘혐오표현의 확산,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세션2, ‘혐오표현과 차별, 그 제도적 대안은?’이라는 주제로 토론하고 있는 모습. 사진 허현덕

 

 

 

혐오표현은 혐오대상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범죄로 이어지기에 사회의 경직을 부추긴다. 우리나라도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 집단에 대한 혐오가 견고한 형태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법무부는 28일 오전 10시, 서울 서대문구 연세동문회관 그랜드볼룸에서 제5회 국제인권심포지엄 ‘혐오표현의 확산,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열었다. 심포지엄에서는 여러 나라의 혐오표현에 대한 실태와 이에 따른 방안을 들어보고, 우리나라 상황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모색했다.

 

- 왜 특정집단을 혐오하는가?

 

혐오표현은 사회적 약자, 소수자 집단에 대한 △증오·혐오 선동 △공개적 비방·멸시 △심각한 편견이나 선입견을 유포하는 다양한 성격과 수위의 해악을 동반하는 표현이다. 이주영 서울대학교 인권센터 전문위원은 “혐오표현에 대한 국제적 협의는 이뤄진 바가 없다”며 “해외 입법된 혐오표현 규제는 인종주의적 표현을 시작으로 성적지향, 성별정체성, 성, 장애 등을 이유로 한 혐오표현의 영역으로 넓어지고 있다”고 소개했다.

 

캐나다에서는 반무슬림 세력, 신나치주의자, 나치주의자에 의한 혐오표현과 이에 따른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반 바골드 캐나디안 안티-헤이트 네트워크(Canadian Anti-Hate Network) 이사는 “얼마 전에도 캐나다에서 신나치주의 테러리스트에 의해 폭발물 테러를 감지하고 저지한 사건이 있었다”며 “신나치주의자들은 백인 우월주의자들로 백인만의 국가를 건설해야 한다며 대량학살과 테러를 계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무슬림 세력은 ‘무슬림이 캐나다를 지배하려고 한다’는 주장을 내세워 이들에 대한 혐오표현을 유포하고, 온·오프라인에서 무차별 폭행을 일삼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들은 팟캐스트와 SNS를 활용해 혐오를 퍼뜨리고 있었다.

 

일본은 아이누 선주민(홋카이도 원주민), 이주민, 성소수자, 장애인 등에 대한 혐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것은 재일한국인에 대한 혐오다. 일본 정부가 시행한 설문조사에서도 이주민 중 재일한국인에 대한 혐오범죄가 가장 크다는 결과가 나왔다. 2006년 ‘재일특권을용서하지않는시민의모임’(아래 재특회)이라는 단체가 세워졌고, 오프라인에서 2013년 347번, 2014년 378번, 2015년 250번의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한국=적’, ‘죽이자’ 등의 문구를 쓰고 재일한국인에 대한 혐오를 쏟아내고 있다. 이들은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활발히 혐오발언을 하고 있다.

 

재일교포 3세인 김창호 일본변호사는 “현재 한국과 일본이 정치·경제 문제로 부딪치는 가운데 한국의 경제력이 상승하면서 일본의 국제적 지위 저하에 대한 불만을 외부적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며 “내부적으로는 과거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한국인에 대한 뿌리 깊은 차별의식과 일본 내에서의 빈부격차가 심화되면서 일본의 마이너리티 중에서 재일한국인을 소환해 혐오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고 설명했다.

 

캐나다와 일본에서 이런 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가 견고해지는 데는 정치인의 역할이 컸다고 밝혔다.

 

이반 바골드 이사는 “캐나다에서 정치인이 정치적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무슬림이나 유대인들을 강제로 추방하거나 살해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는데 이런 발언들이 국민들에게 점차 인종차별적 언행과 사상을 심어주는 결과를 낳았다”며 “모든 혐오는 언어로부터 시작한다”고 주장했다.

 

일본은 여당인 자민당이 한국에 대한 적대를 감추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인종차별단체가 정치단체가 되어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16년에는 재특회 대표가 ‘일본제일당’을 결성해 도쿄도지사 선거에서 11만 표를 획득하기도 했다. 이들은 ‘한국인입국금지’, ‘한국과의 관계 단절’ 등을 내세우고 재일한국인, 한국인 혐오를 멈추지 않고 있다.

 2.jpg

법무부는 28일 오전 10시, 서울 서대문구 연세동문회관 그랜드볼룸에서 제5회 국제인권심포지엄 ‘혐오표현의 확산,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열었다. 사진 허현덕

 

 

 

- 다른 나라는 혐오표현에 어떤 대응책 마련했나?

 

일본은 지난 2016년 5월 ‘헤이트스피치해소법’을 제정해 외국출신자에 대한 혐오를 금지하는 법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처벌 규정을 포함한 제재 규정이 없고, 헤이트스피치에 대한 대상이 한정되어 일반적인 인종차별은 적용되지 않아 효과는 미미하다. 그러나 이후 혐한 오프라인 집회가 줄어들었고, IT업계 등에서 혐오표현 규제를 위한 협약을 개정해 자체적으로 혐오표현 규제를 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또한 오사카, 도쿄, 카와사키 등에서 차별금지 조례 제정에도 이바지했다.

 

캐나다는 형법 제318조와 319조에 혐오범죄에 대한 처벌조항이 있지만, 형사기소가 잘 이뤄지지 않고 판결까지 2~3년이 걸린다. 또한 1년 이하의 구금 등 낮은 수위의 처벌로 사실상 혐오범죄자가 법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과거에는 캐나다 인권법 13조에 의해 개인이 인권위원회에 제소할 수 있고, 판결도 1년 이내에 이뤄졌지만 현재는 삭제되어 활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캐나디안 안티-헤이트 네트워크는 법률에 기대지 않고 SNS와 팟캐스트 등에 혐오표현을 하는 단체와 개인에게 지속적으로 삭제 요청을 하고, 혐오물 게시자들의 정체를 밝히는 일을 하고 있다.

 

이주영 전문위원은 소셜 미디어에 따른 온라인 환경 변화와 혐오표현 확산의 상관관계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뉴질랜드의 한 의원은 페이스북이 혐오표현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할 수도 있고 개인이나 단체를 혐오적 맥락으로 공격하지만,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는다고 지적한 바 있다”며 “2018년 독일에서도 소셜미디어에서의 난민혐오와 실질적인 난민에 대한 폭력의 연관성을 밝힌 연구가 발표됐다”고 설명했다.

 

유럽평의회는 ‘컴퓨터를 통한 인종주의, 외국인 혐오적 행위의 처벌에 관한 사이버 범죄 협약 추가의정서’를 마련해서 위반할 시 형사 규제를 도입하고, 처벌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공직에 있는 사람들이 특히 혐오표현을 하지 않아야 할 책임이 있다’고 권고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형법을 통한 인종주의와 외국인 혐오의 특정 형태와 표현에 대응하기 위한 기본 결정’에서 혐오표현 등을 형사 범죄로 규정하고, 처벌 근거도 담고 있다. 이 규범을 근거로 ‘불법 온라인 혐오표현 대응 행동기준’과 ‘시청각 미디어서비스 지침’을 마련하고 있다. 이 중에서 ‘불법 온라인 혐오표현 대응 행동기준’은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의 소셜미디어에 각각 신고절차를 마련하도록 하여, 신고된 콘텐츠는 24시간 안에 검토해 삭제하거나 접근을 제한하도록 하고 있다.
 
- 국민 10명 중 7명 혐오표현 경험… “혐오표현이 혐오범죄로 이어질 것 81.8%” 전망 

 

우리나라의 혐오표현은 2010년 ‘반(反)다문화’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반(反)다문화와 반(反)외국인을 기반으로 한 이주노동자에 대한 혐오가 시발점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2012년 일간베스트의 등장은 우리 사회에 본격적으로 ‘혐오표현’과 ‘혐오발언’이 쏟아져 나온 계기가 됐다. 김정학 국가인권위원회(아래 인권위) 혐오차별대응기획단 팀장은 “이러한 배경에서 강남역 살인사건(2016), 제주도 예멘 난민 반대, 인천퀴어문화축제 반대 폭력 집회(2018) 등이 발생했다”며 “다문화와 이주노동자에서 여성과 난민, 성소수자를 향한 혐오표현이 극심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3.jpg

국가인권위원회 ‘2019 혐오표현 국민인식조사결과’ 내용 갈무리. 인권위 보도자료 캡처

 

 

 

혐오표현에 대한 심각성은 인권위가 국민 1,2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2019 혐오표현 국민인식조사결과’에서도 잘 나타난다. 조사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7명은 혐오표현을 경험했다고 답변했다. 또한 혐오표현이 혐오범죄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은 81.8%에 달했다. 또한 사회갈등이 더 심해질 것(78.4%), 차별현상이 고착화 될 것(71.4%), 사회적 소수자의 표현의 자유가 더 위축될 것(62.8%)이라는 답변이 지배적이었다. 혐오차별 문제가 해소될 것이라는 답변은 22.2%에 불과했다.

 

이처럼 사회적으로 혐오표현과 혐오범죄에 대한 문제가 국민적 관심으로 떠올랐지만, 정부는 이에 대한 심각성을 고려하거나 대책 마련에 손을 놓고 있었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류민희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 변호사는 “강남역 살인사건은 전형적인 증오범죄의 하나인데 형사정책상 증오범죄로 분류할 수 있는 근거가 없다는 이유로 정부는 손을 놓고 있었다”며 “정부의 수수방관으로 증오범죄의 발생 근원에 대한 성찰뿐 아니라 증오범죄 자체 통계 마련도 이뤄지지 못했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김지혜 강릉원주대학교 교수는 “제주도 예멘 난민을 둘러싼 외국인 혐오가 퍼지고 있을 때, 정부는 이를 ‘국민정서’라며 혐오를 증폭시켰다”며 “현 정부가 성소수자, 이주민 등의 소수자에 대한 혐오표현이 있을 때 대부분 소수자의 권리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나아가 대다수의 국민이 원하는 평등에서는 멀어지는 행보를 보였다”고 비판했다.

 

노르웨이는 2013년 ‘온라인 혐오는 이제 그만’이라는 캠페인을 정부 주도로 벌였다. 2014년에는 ‘혐오표현 반대 정책선언’을, ‘혐오표현 대응전략 5개년 계획’도 수립한 바 있다. 이런 범국가적 혐오 대응에 국민들은 지지를 보내며 동참하고 있다. 이처럼 혐오표현 대응에 정부의 명확한 역할이 어떤 제도적·정책적 대응보다 중요하다고 토론자와 발제자는 한목소리를 냈다.

 

김지혜 교수는 “우리나라는 평등과 사회적 차별금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이미 헌법과 시민들의 의식 속에 있다”며 “정부가 헌법 정신을 실현하고, 시민의 권한을 위임받은 국회가 제도를 만드는 일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라고 거듭 강조했다. 


허현덕 기자 hyundeok@beminor.com 
 
 http://www.beminor.com/detail.php?number=13788&thread=04r01
 


  1. 반 학기 지나서 교과서 받는 시각장애학생들, 해결책은 없을까?

    반 학기 지나서 교과서 받는 시각장애학생들, 해결책은 없을까?  마라케시 조약 비준 4년, 제자리걸음인 시각장애인의 정보접근권 “마라케시 조약의 ‘수혜자’는 곧 ‘권리자’를 뜻해, 정보접근권은 인권”    등록일 [ 2019년10월29일 14시00분 ]     28일 오후 ...
    Date2019.10.30 By성동센터 Views178
    Read More
  2. 휠체어 탑승 가능한 고속버스 시범운행에 장애인들 “눈물 난다, 하지만…”

    휠체어 탑승 가능한 고속버스 시범운행에 장애인들 “눈물 난다, 하지만…”  교통약자법 시행 13년 만에 장애인도 탈 수 있는 고속버스 마련돼  휠체어 탑승 가능한 버스, 전체의 0.1%에 불과… 예산 확대 필수      등록일 [ 2019년10월28일 17시06분 ]         ...
    Date2019.10.30 By성동센터 Views131
    Read More
  3. 정신장애인들과 함께한 시민들 “매드프라이드, 변화의 시작 되어야”

    정신장애인들과 함께한 시민들 “매드프라이드, 변화의 시작 되어야”  제1회 매드프라이드 서울, 노란나비되어 광장을 행진한 사람들  당사자뿐만 아니라 기자, 전문가 등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해    등록일 [ 2019년10월28일 12시51분 ]   매드프라이드가 열린...
    Date2019.10.29 By성동센터 Views208
    Read More
  4. 인권위, 교육부 장관에게 발달장애학생 ‘도전적 행동’ 지원 위한 정책 권고

    인권위, 교육부 장관에게 발달장애학생 ‘도전적 행동’ 지원 위한 정책 권고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신체적 개입은 신중하게 판단해야” 교육부 장관에게 매뉴얼 마련, 외부 전문가 조력, 개별화교육 개선 등 권고    등록일 [ 2019년10월23일 20시24...
    Date2019.10.24 By성동센터 Views116
    Read More
  5. 법원 “신길역 리프트 사고 유족에 1억 3천만 원 배상하라” 판결

     법원 “신길역 리프트 사고 유족에 1억 3천만 원 배상하라” 판결 서울교통공사, 1년 7개월간 법정 다툼 끝에 손해배상소송 1심 일부 패소  장애계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법원 태도, 변화하고 있어” 긍정적 평가     등록일 [ 2019년10월18일 20시28분 ]    고...
    Date2019.10.22 By성동센터 Views136
    Read More
  6. 휠체어 탑승가능한 고속버스 도입되지만… ‘아쉬운 점 많아’

    휠체어 탑승가능한 고속버스 도입되지만… ‘아쉬운 점 많아’ 21일부터 온라인 예매 가능, 28일부터 시범 운행  탑승가능한 휠체어 한정적이고, 3일 전까지 예매 필수 등 ‘제한적 상황’ 많아    등록일 [ 2019년10월18일 11시39분 ]   2018년 1월, 국토교통부 주...
    Date2019.10.19 By성동센터 Views158
    Read More
  7. 삼성전자 등 272개 대기업,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 뽑지 않아

    삼성전자 등 272개 대기업,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 뽑지 않아 고용노동부 지금까지 미선임 사업장에 한 건도 과태료 처분한 적 없어  신창현 의원, “과태료 현실화하고 근로자 수만큼 상담원 기준 마련해야”    등록일 [ 2019년10월15일 16시56분 ]   상담을 ...
    Date2019.10.16 By성동센터 Views130
    Read More
  8. 인권위, 활동지원 만 65세 연령제한 긴급구제 결정 공식화

    인권위, 활동지원 만 65세 연령제한 긴급구제 결정 공식화 만 65세 되어 활동지원 못 받는 중증장애인 3인, 긴급구제 권고 결정  인권위법에서 긴급구제 이행 강제할 방법 없어… 활동지원법 개정 이뤄져야    등록일 [ 2019년10월14일 16시56분 ]   지난 9월 5...
    Date2019.10.15 By성동센터 Views90
    Read More
  9. 장애계, 사회보장위원회 농성 마무리… ‘국회 예산 심의 투쟁’ 나설 것

    장애계, 사회보장위원회 농성 마무리… ‘국회 예산 심의 투쟁’ 나설 것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 ‘만 65세 연령제한 폐지’ 위한 예산 요구  서울시 탈시설 예산도 좌초될 위기… 서울시 압박하며 시청까지 폭우 속 행진      등록일 [ 2019년10월03일 00시54분 ] ...
    Date2019.10.04 By성동센터 Views110
    Read More
  10. 서울시 탈시설-자립생활 약속, 잉크도 안 말랐는데 ‘백지화’?

     서울시 탈시설-자립생활 약속, 잉크도 안 말랐는데 ‘백지화’?  탈시설 장애인 활동지원 120시간→84시간으로… 52억 원 예산 18억 원으로 ‘싹둑’ 서울장차연 “박원순 시장, 4월에 약속한 ‘장애인 탈시설-자립생활’ 정책 지켜라” 경고     등록일 [ 2019년10월01...
    Date2019.10.02 By성동센터 Views123
    Read More
  11. 정신병원 보호사에게 ‘전치 6주’ 폭행당했는데 검찰은 ‘불기소 처분’

    정신병원 보호사에게 ‘전치 6주’ 폭행당했는데 검찰은 ‘불기소 처분’ 장애계 ‘가해자 재수사 및 공소제기’ 요구하며 기자회견 열어  폭력과 격리∙강박 만연한 정신병원, 국가와 언론 무관심 속 치료과정 민낯    등록일 [ 2019년09월27일 20시32분 ]   정신병...
    Date2019.10.01 By성동센터 Views219
    Read More
  12. 인권위 “정부, 장애인 탈시설 정책 주도해야… 로드맵 수립 권고”

    인권위 “정부, 장애인 탈시설 정책 주도해야… 로드맵 수립 권고”  2009년보다 2017년 장애인 거주시설 1,019곳→1,517곳, 거주인 23,243명→30,693명으로 늘어  정부 주도 ‘장애인 탈시설 추진단’ 구성과 ‘장애인 탈시설 로드맵’ 마련 권고    등록일 [ 2019년09...
    Date2019.09.25 By성동센터 Views158
    Read More
  13. “지체장애인 중심 이동편의증진법, 청각장애인도 고려해야”

     “지체장애인 중심 이동편의증진법, 청각장애인도 고려해야”  장애벽허물기,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개정안 발의 환영    등록일 [ 2019년09월18일 15시16분 ]   비마이너 자료사진     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아래 장애벽허물기)이 윤소하 정의당 ...
    Date2019.09.20 By성동센터 Views135
    Read More
  14. “서울지하철 8개역 엘리베이터 설치 불가능”… 결국 수직형 리프트로?

     “서울지하철 8개역 엘리베이터 설치 불가능”… 결국 수직형 리프트로?  2022년 1역사 1동선 엘리베이터 100% 설치 확보 방안 토론회 열어 8개역 ‘수직형 리프트’ 검토, 상일동역은 그마저 어려워… 장애계는 안전성 우려     등록일 [ 2019년09월12일 01시20분 ...
    Date2019.09.17 By성동센터 Views202
    Read More
  15. 2019년 장애인들, 여전히 굶어 죽고 혼자 죽고 죽임당하고… 국가는 어디에?

     2019년 장애인들, 여전히 굶어 죽고 혼자 죽고 죽임당하고… 국가는 어디에? 탈북민 모자, 장애여성 고독사, 강서구 모자 피살 등 ‘사회적 죽음’ 잇따라  장애계, ‘허울뿐인 장애복지’ 규탄하고 희생자 합동 분향소 차려    등록일 [ 2019년09월05일 23시36분 ...
    Date2019.09.11 By성동센터 Views139
    Read More
  16. 장애계 요구에도 보건복지부, 활동지원과 연금 큰 변동업시 내년도 안 확정

    장애계 요구에도 보건복지부, 활동지원·연금 큰 변동없이 내년도 예산안 확정 활동지원, 대상자 9000명 늘고 월 평균시간 109시간→127시간으로 증가 장애인 가구 부양의무자 폐지, 생계급여 3조 7617억 원→4조 3379억 원 증액   등록일 [ 2019년08월29일 19시...
    Date2019.09.06 By성동센터 Views100
    Read More
  17. 이제 휠체어 탄 장애인도 광화문역 지하철을 한 번에! 엘리베이터 설치에 ‘환호’

    이제 휠체어 탄 장애인도 광화문역 지하철을 한 번에! 엘리베이터 설치에 ‘환호’  광화문 지하철 엘리베이터 완공 환영식 열어, “이동권 보장은 모든 시민의 권리”     등록일 [ 2019년09월04일 00시49분 ]   광화문역 엘리베이터 완공 환영식을 마친 이들은 ...
    Date2019.09.05 By성동센터 Views321
    Read More
  18. 점점 거세지는 혐오 표현 제지 위해 “정부 역할 가장 중요해”

     점점 거세지는 혐오 표현 제지 위해 “정부 역할 가장 중요해”  법무부, 제5회 국제인권심포지엄, ‘혐오표현의 확산,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열어  국민 10명 중 7명 혐오표현 경험… “혐오표현이 혐오범죄로 이어질 것 81.8%” 전망     등록일 [ 2019년08월30...
    Date2019.09.02 By성동센터 Views261
    Read More
  19. 복지부, 활동지원서비스 3개월 미이용자 전체 실태조사 한다

     복지부, 활동지원서비스 3개월 미이용자 전체 실태조사 한다 관악구 중증장애인 고독사… 1년간 서비스 중단했는데 어느 기관도 파악 못 해  복지부 당일 대책 발표 “8~9월, 전수조사 실시하겠다”    등록일 [ 2019년08월28일 20시19분 ]  관악구에 사는 중증...
    Date2019.08.29 By성동센터 Views117
    Read More
  20. 장애계, 인권위 ‘만 65세 연령제한 둔 장애인활동지원법 개정 권고’에 환영

    장애계, 인권위 ‘만 65세 연령제한 둔 장애인활동지원법 개정 권고’에 환영  인권위 두 번째 장애인활동지원법 개정 권고… 장애계 ‘인권위 권고 환영’  “20대 국회 계류 중인 개정안, 조속히 처리해서 장애인 생존권 보장해야”     등록일 [ 2019년08월27일 16...
    Date2019.08.28 By성동센터 Views13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