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HOT 뉴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장애인 예술인 중 절반이 발달장애인, 체계적 지원 제도 필요
‘2018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조사’ 결과 발표회 열려
 복지관 등 문화예술프로그램 통한 유입 가장 많아
 
 등록일 [ 2019년08월10일 12시53분 ]
 1565409814_99270.jpg

9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등의 주최로 ‘2018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조사’ 결과 발표회가 열렸다. 박근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수석전문위원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 강혜민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조사 결과, 발달장애인들이 예술 활동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기존에 치료 목적으로 인식되던 복지관에서의 문화예술프로그램이 주 유입로가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통해 발달장애인에 대한 예술 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제도를 마련하고, 복지관 프로그램을 장애인 예술 활동의 현장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9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등의 주최로 ‘2018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장애인 예술활동 여건 개선을 논의하는 토론회가 열렸다.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은 장애인 문화예술의 진흥을 위하여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재단법인이다.

 

‘2018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조사’는 장애인의 문화예술활동 현황 및 창작 여건 등을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실태조사는 장애인 문화예술단체 및 장애인 관련 기관 2,119개 중 944개를 대상으로 모집단을 구축, ‘장애 예술인’과 ‘장애인 예술활동가’로 나누어 조사했다. 그 결과 장애 예술인은 5,972명, 장애인 예술활동가는 25,722명으로 추정되었다. 장애 예술인, 장애인 예술 활동가를 대상으로 모집단 규모와 예술활동 현황을 파악하는 실태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장애 예술인’은 △협회 소속 여부 △예술 활동 증명 여부 △수상 경험 △전국단위 행사 초청 여부 △예술인으로서의 인식 등 5가지 기준에서 1가지 이상 해당하는 사람으로 정의했다. ‘장애인 예술활동가’는 2018년 한 해 기관·협회·단체에서 진행하는 문화예술 분야의 프로그램에서 창작활동을 하여 발표, 출판, 전시, 공연을 한 경험이 있는 사람으로 정의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모집단에서 장애 예술인 416명, 장애인 예술활동가 584명을 표본 추출해 지난 3월 25일~5월 3일까지 방문 면접으로 조사했다.

 

- 장애 예술인, 평균 활동 기간 7.6년… “전문 교육 필요하다”

 

장애 예술인의 경우, 장애유형은 지적장애(35.1%), 지체장애(23.4%), 자폐성장애(13.9%) 순으로 많았다. 이들 활동 분야는 서양음악(38.3%)이 가장 많았고 문학(18.0%), 미술(17.2%), 무용·연극 등 공연 분야(5% 미만)가 뒤를 이었다. 평균 활동 기간은 7.6년이었는데 지체장애와 시각장애가 8.7년으로 가장 길었으며, 뇌병변장애가 6.6년으로 가장 짧았다. 이들은 주로 복지관 등에서 하는 교육 프로그램(68.5%)을 통해 예술 활동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열 명 중 아홉 명은 창작 및 실연(90.9%)으로 예술활동을 하고 있었다.

 

최근 3년간 출판·발표·공연·전시를 한 평균 횟수는 10.6회였는데 이중 시각장애(17.2회), 지체장애(16.5회)가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전문 예술교육은 주로 그룹지도(42.6%), 개인레슨(23.0%)을 통해서 이뤄졌다. 전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선 ‘필요하다’는 응답이 절반(매우 필요함 25.9 %, 필요함 18.6%)에 달해 교육에 대한 목마름을 여실히 보여줬다.

1565409832_45124.jpg

전문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장애 예술인의 답변

 


 

예술 활동 어려움 중 교육 부문에 있어서 전문교육인력 부족(40.9%)을 가장 큰 문제로 꼽았으며, 교육기관의 부재(24.4%), 시설 및 기자재 부족(18.2%), 정보 부족(12.8%)이 뒤를 이었다. 창작 및 발표에 있어서는 발표·전시·공연 시설 부족(29.9%), 연습·창작공간 부족(21.6%) 장애예술인 시설·장비 부족(13.7%)과 같은 물리적 접근성이 큰 어려움으로 지적되었고, 이와 함께 장애예술을 즐길 향유층 부족(9.1%)도 어려움으로 꼽혔다. 공간 이용에 있어서는 공간 구조·형태가 활동에 부적합(26.4%), 장애인시설 미비(21.8%), 높은 대관 비용(12.9%), 접근성(9.9%)이 어려움으로 지적되었다.

 

지난 1년간 문화예술 행사 관람 경험에 대해서는 열 명 중 여덟 명만이 있다(82.3%)고 답했는데, 영화의 비율(62.7%)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서양음악(37.1%), 미술전시회(35.4%), 연극(27.0%) 등이 뒤를 이었다. 관람이 어려운 이유로는 비용 부담(43.9%)이 가장 컸고 장애인 편의시설 부족(18.7%), 교통 불편(15.8%)도 높은 순위에 있었다.

 

예술 활동에 필요한 지원으로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창작 기금·수혜자 확대가 가장 필요하다(66.3%)고 답했다.

 

- 장애인 예술활동가, 지적장애 압도적으로 많아… 복지관 프로그램 계기로 참여 

 

장애인 예술활동가의 장애유형에서도 지적장애(41.3%)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지체장애(25%), 자폐성장애(9.2%) 순이었다. 활동 분야는 서양음악(22.0%), 미술(19.0%), 공예(14.0%), 대중음악(12.9%) 등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1565409856_82069.jpg

장애인 예술활동가 장애 유형 비율

 


 

평균 활동 기간은 4.1년으로 시각장애가 6.3년으로 가장 길었고, 청각장애·언어장애가 2.1년으로 가장 짧았다.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지적장애는 3.9년으로 전체 평균 활동 기간과 엇비슷했다.

 

이들 역시 대다수는 복지관 등의 교육프로그램(94.1%)으로 예술 활동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창작 및 실연(83.5%)으로 예술활동을 하고 있었다. 절반 이상이 전문예술교육이 필요하다(필요함 45.1%, 매우 필요함 13.8%,)고 답했다.

 

이들은 발표·전시·공연 시설 부족(23.9%), 연습·창작 공간 부족(21.2%), 장애예술인 시설·장비 부족(11.5%)으로 창작 및 발표에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지난 1년간 문화예술 행사 관람 경험이 있다(76.3%)고 답한 비율은 장애예술인보다는 낮았는데, 관람 형태는 이들 또한 영화(59.5%)가 가장 높았고 미술전시회(31.3%), 연극(23.5%), 전통예술(20.5%), 뮤지컬(19.5%)이 뒤를 이었다.

 

- 지체, 시·청각장애 중심이었던 예술활동 연구, ‘발달장애’ 재조명 의미 있어

 

이날 실태조사 결과 발표를 한 박근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수석전문위원은 발달장애인의 예술 활동을 조명하고, 장애인의 예술 활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었던 것을 실태조사의 큰 의미로 짚었다.

 

박 전문위원은 “발달장애인 예술인은 전체 장애 예술인 중에선 49%, 장애인 예술활동가에서는 68%를 차지한다. 기존 장애인 예술활동 연구가 지체장애, 시각 및 청각장애인 중심으로 조사되었는데, 그동안 관심받지 못했던 발달장애인(지적장애, 자폐성장애)의 예술활동 현황을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장애인 예술활동 경로로 복지관과 같은 시설에서의 예술 교육 프로그램이 압도적 비율을 차지했는데, 이에 대해서도 “복지관 및 시설을 장애인들의 예술활동의 기반이자 예술활동의 현장으로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개선 방안에 대한 제언도 이어졌다. 박 전문위원은 “발달장애인의 예술활동 증진을 위한 종합정책이 필요하다”면서 “의학, 특수교육, 학자, 예술가 간의 학제 간 연구개발로 발달장애인의 특성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및 창작 기회 제공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체계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애인 문화예술 매개자 양성도 시급하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대상자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한 전문가를 양성하고, 복지관 등의 시설에서 장애인의 예술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할 수 있는 인력을 파견해 현장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나아가 ‘접근성 정보센터’(가칭)를 통해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어서비스, 공연자막 제공, 음성안내 기기 제공 및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안내 서비스, 이동장애인을 위한 슬로프 대여 등 접근성 향상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올려 0    내려 0  
 


강혜민 기자 skpebble@beminor
 
 
 


  1. 65세 됐다고 활동지원 뚝, ‘하루 14시간→4시간’ 장기요양으로 살아가는 김순옥 씨

      65세 됐다고 활동지원 뚝, ‘하루 14시간→4시간’ 장기요양으로 살아가는 김순옥 씨 만 65세 되면 활동지원→노인장기요양보험으로 강제 전환… 탈시설 장애인 눈물  탈시설 정책 펼친다더니, 65세 되니 시설 권유하는 일관성 없는 정부 정책    등록일 [ 2019년...
    Date2019.08.27 By성동센터 Views186
    Read More
  2. ‘만 65세 되면 장애인은 시설 가라고?’ 릴레이 단식 농성 돌입

    ‘만 65세 되면 장애인은 시설 가라고?’ 릴레이 단식 농성 돌입  만 65세 되면 활동지원 끊기고 노인장기요양으로 강제 전환  하루 24시간 서비스받던 장애인도 하루 4시간으로 뚝… ‘생존권 위협’     등록일 [ 2019년08월14일 23시02분 ]     전국장애인차별철...
    Date2019.08.16 By성동센터 Views157
    Read More
  3. 중증장애인, 장애운동 벌금 70만 원 저항하며 노역 투쟁 결의

    중증장애인, 장애운동 벌금 70만 원 저항하며 노역 투쟁 결의  김준우 대표, 자진노역 결의로 검찰 출두했지만 편의시설 안 되어 있어  벌금납부연장 및 사회봉사명령 신청하고 당일 나와… 결과는 2주 후에     등록일 [ 2019년08월13일 22시48분 ]   13일 오...
    Date2019.08.14 By성동센터 Views138
    Read More
  4. 서울역 고가다리 밑 기습 점거한 장애인들 “장애인 생존권 예산 쟁취”

    서울역 고가다리 밑 기습 점거한 장애인들 “장애인 생존권 예산 쟁취”  장애인 활동가들 ‘활동지원서비스, 장애인연금, 주간활동서비스’ 예산 확보 외쳐  쇠사슬로 온몸 묶은 채 90분간 도로점거… ‘종합조사표 모의평가 시행’도 요구    등록일 [ 2019년08월10...
    Date2019.08.13 By성동센터 Views148
    Read More
  5. 장애인 예술인 중 절반이 발달장애인, 체계적 지원 제도 필요

    장애인 예술인 중 절반이 발달장애인, 체계적 지원 제도 필요 ‘2018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조사’ 결과 발표회 열려  복지관 등 문화예술프로그램 통한 유입 가장 많아    등록일 [ 2019년08월10일 12시53분 ]   9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
    Date2019.08.12 By성동센터 Views309
    Read More
  6. 종합조사 모의평가 약속 파기한 복지부… 장애계, ‘그림자 투쟁’ 선포

     종합조사 모의평가 약속 파기한 복지부… 장애계, ‘그림자 투쟁’ 선포  “최중증장애인 하루 최대 16.16시간 도달할 가능성 없어… 복지부는 근거 제시해야”    등록일 [ 2019년08월06일 17시50분 ]     기자회견에서 이형숙 서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회...
    Date2019.08.08 By성동센터 Views110
    Read More
  7. 25년간 공무원 생활했는데, ‘피성년후견인이라고 나라에서 버림받아’… 소송 제기

    25년간 공무원 생활했는데, ‘피성년후견인이라고 나라에서 버림받아’… 소송 제기 25년간 공무원으로 일했지만, 피성년후견인 되자 국가공무원법에 의해 당연퇴직 당해  김 씨 유가족들 임금 등 청구소송, 국가공무원법 ‘당연퇴직’ 조항 위헌법률심판 제청    ...
    Date2019.08.06 By성동센터 Views154
    Read More
  8. 김영춘 의원, 장애인 주거자립지원센터 설치하는 ‘장애인복지법’ 개정안 발의

      김영춘 의원, 장애인 주거자립지원센터 설치하는 ‘장애인복지법’ 개정안 발의 장애인 자립지원에 대한 국가와 지자체 책임 규정하고  주거자립지원센터 설치·운영 근거, 자립계획 수립 등 담아    등록일 [ 2019년08월01일 15시30분 ]   서울장애인차별철폐...
    Date2019.08.05 By성동센터 Views127
    Read More
  9. “장애인 자립생활 예산, 4조 원으로 확대해야” 충정로 8차선 도로 점거한 장애인들

    “장애인 자립생활 예산, 4조 원으로 확대해야” 충정로 8차선 도로 점거한 장애인들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 위해 장애인예산 두 배 확대 요구  종합조사 모의평가 시행 하루 전날 취소 통보한 복지부, 장애계는 분노     등록일 [ 2019년08월02일 00시32분   ...
    Date2019.08.02 By성동센터 Views130
    Read More
  10. 내년 기준 중위소득 2.94% 올라… “문재인 정부 ‘포용국가’ 입에 담을 자격도 없다”

     내년 기준 중위소득 2.94% 올라… “문재인 정부 ‘포용국가’ 입에 담을 자격도 없다” 2020년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올해보다 2.94% 오른 474만 9,174원  시민사회단체, “3년간 기준 중위소득 인상률 평균 2.06%, 문재인 정부 ‘포용국가’ 운운할 자격 없다”  ...
    Date2019.08.01 By성동센터 Views164
    Read More
  11. “내년에 수급비 좀 올랐으면…” 프레스센터 앞에 모인 기초생활수급자들

     “내년에 수급비 좀 올랐으면…” 프레스센터 앞에 모인 기초생활수급자들 복지제도 선정 기준되는 ‘기준 중위소득’ 결정하는 중생보위 열려 “2차 종합계획 때 ‘부양의무자 기준 완전 폐지’ 반영하겠다” 박능후 장관 재차 약속    등록일 [ 2019년07월30일 20시2...
    Date2019.07.31 By성동센터 Views606
    Read More
  12. 저임금과 휴식 없는 삶, 불투명한 미래… 지속불가능한 활동가들의 현실

    저임금과 휴식 없는 삶, 불투명한 미래… 지속불가능한 활동가들의 현실 박종필 추모사업회, 2주기 맞아 ‘활동가 건강권’ 논의하는 포럼 개최 ‘보다 나은 사회 꿈꿨지만 나의 미래는?’ 신체적·정신적 건강 위협받는 활동가들    등록일 [ 2019년07월28일 17시30...
    Date2019.07.30 By성동센터 Views124
    Read More
  13. 벼랑 끝에 선 빈곤 문제, 내년도 기준 중위소득 결정 앞두고 ‘대폭 인상’ 촉구

     벼랑 끝에 선 빈곤 문제, 내년도 기준 중위소득 결정 앞두고 ‘대폭 인상’ 촉구 기준 중위소득 3년간 평균 인상률 1.66%… 과거 최저생계비 인상률의 절반  기초생활수급 대상자 사각지대로 꼽히는 ‘부양의무자 기준’, 완전 폐지 촉구도     등록일 [ 2019년07...
    Date2019.07.19 By성동센터 Views107
    Read More
  14. 서울시, 강원도 양양에 장애인 해변캠프 8월 10일까지 운영

    서울시, 강원도 양양에 장애인 해변캠프 8월 10일까지 운영 7.17~8.10 25일간 운영, 1인당 2000원에 누구나 이용 가능    등록일 [ 2019년07월17일 15시05분 ]   ‘서울시 장애인 해변캠프’가 운영되는 강원도 양양군 광진리 큰바다 해수욕장     서울시가 17일...
    Date2019.07.18 By성동센터 Views156
    Read More
  15. 인권위 “장애인 편의제공, 영화관은 책임 없다”… 논란 일파만파

    인권위 “장애인 편의제공, 영화관은 책임 없다”… 논란 일파만파  장애계 “차별 시정 기관인 인권위가 ‘법도 제대로 모르고’ 기각 결정 내려” 천만 관객 앞둔 영화 기생충, 시·청각장애인은 못 본다… 인권위 다시 진정    등록일 [ 2019년07월17일 00시04분 ]  ...
    Date2019.07.17 By성동센터 Views114
    Read More
  16. 전동휠체어 운전하는데 ‘100 빼기 7’이 왜 필요해?

      전동휠체어 운전하는데 ‘100 빼기 7’이 왜 필요해? [김상희의 삐딱한 시선] 전동휠체어 급여 지원받기 위해 인지검사 받아야  점수 미달하면 급여 지원에서 탈락… 지적·지체 장애인은 어떻게?    등록일 [ 2019년07월15일 17시55분 ]   김상희 씨가 새 전동...
    Date2019.07.17 By성동센터 Views464
    Read More
  17. [부고] 석암투쟁 이끈 ‘마로니에 8인’ 황정용 씨, 13일 별세

    [부고] 석암투쟁 이끈 ‘마로니에 8인’ 황정용 씨, 13일 별세  자택에서 급작스레 사망… 석암재단 비리 세상에 알리며 탈시설  탈시설 장애인의 멘토로 활동, 김포센터 설립 함께하기도    등록일 [ 2019년07월13일 17시40분 ]   故 탈시설자립생활운동가 황정...
    Date2019.07.15 By성동센터 Views153
    Read More
  18. 휠체어 탄 라이언, 우리도 볼 수 있을까?

     휠체어 탄 라이언, 우리도 볼 수 있을까? #휠체어탄라이언 챌린지 시작한 무의 “어릴 때부터 다양한 장애 접할 수 있어야… 캐릭터, 이모지 등에 장애 반영 촉구”    등록일 [ 2019년07월10일 19시20분 ]   장애인이동권콘텐츠제작 협동조합 무의(muui)가 #휠...
    Date2019.07.12 By성동센터 Views127
    Read More
  19. 장애계 “내년도 활동지원서비스 예산, 올해보다 두 배가량 늘려야

    장애계 “내년도 활동지원서비스 예산, 올해보다 두 배가량 늘려야”  대상자 10만 명, 150시간, 단가 16,570원 보장 촉구  장애계, 복지부 예산 규모에 유감… “2020년 예산 1조 9,983억 원” 제안    등록일 [ 2019년07월09일 08시45분 ]   ‘활동지원서비스 권리...
    Date2019.07.11 By성동센터 Views112
    Read More
  20. 장애인 교원의 교권 실현 위한 ‘장애인교원노동조합’ 출범

      장애인 교원의 교권 실현 위한 ‘장애인교원노동조합’ 출범 6일 장애인 교원 단체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출범 “장애인 교원의 평등한 교권 실현과 근무환경 개선에 주력할 것”    등록일 [ 2019년07월08일 18시14분 ]   지난 7월 6일 오후 4시 30분, ...
    Date2019.07.09 By성동센터 Views15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