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 지정 ‘깜깜’
2022년까지 100개소 목표? 서비스 개시 4곳뿐
최혜영 의원, “의료기관 현실적 지원책 필요”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20-08-26 12:09:38
장애인 건강검진 접근성 강화를 위한 ‘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이 오는 2022년까지 100개소를 지정할 목적이지만, 현재까지 서비스 개시한 곳은 단 4곳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 지정이 계획 대비 40%에 그쳐, 사업 예산이 30% 이상 불용됐으며, 100개소 지정 계획은 2024년으로 미뤄진 것.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혜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2019년 결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 지원 사업의 전체 예산 7억 4000만 원 중, 30%가 넘는 2억 4700만 원이 불용됐다고 26일 밝혔다.
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 1개소당 국비 지원금이 5700만원인 것을 감안하면, 4개 기관을 추가로 지원할 수 있는 금액이다.
지난해 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 지정이 계획 대비 40%에 그쳐, 사업 예산이 30% 이상 불용됐으며, 100개소 지정 계획은 2024년으로 미뤄진 것.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혜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2019년 결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 지원 사업의 전체 예산 7억 4000만 원 중, 30%가 넘는 2억 4700만 원이 불용됐다고 26일 밝혔다.
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 1개소당 국비 지원금이 5700만원인 것을 감안하면, 4개 기관을 추가로 지원할 수 있는 금액이다.
‘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 지원’은 제5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2018~2022년)에 따라 장애인 건강검진 접근성을 강화를 목적으로 2018년부터 시행된 사업으로 2019년 목표 기관 수는 20개소였다. 그러나 8개소를 지정하는 데 그쳐 예산이 크게 불용된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사업 부진이 2019년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2018년 10개소, 2019년 20개소, 2020년 20개소 등 2022년까지 전국에 총 100개소 확대 계획을 수립했으나, 집행 부진으로 기간을 연장해 2024년 100여 개소로 계획 변경한 상태이다.
실제로 2018년, 2019년 2년 간 30개소가 지정되어야 했으나 16개소에 그친 것.
실적 부진에 대해 복지부는 “모든 장애유형에 대한 시설 및 운영 기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하고, 장애특화 전문인력에 대해서는 지원이 없어 의료기관에 부담으로 작용한다”며 “신청이 적고, 중도 포기하는 기관도 많았다”고 밝혔다.
이에 최혜영 의원은 “2018년에도 확인됐던 문제가 2019년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진행이 미진해 2024년까지로 사업 기간을 연장했는데,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2024년 달성도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더 큰 문제는 사업 부진이 2019년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2018년 10개소, 2019년 20개소, 2020년 20개소 등 2022년까지 전국에 총 100개소 확대 계획을 수립했으나, 집행 부진으로 기간을 연장해 2024년 100여 개소로 계획 변경한 상태이다.
실제로 2018년, 2019년 2년 간 30개소가 지정되어야 했으나 16개소에 그친 것.
실적 부진에 대해 복지부는 “모든 장애유형에 대한 시설 및 운영 기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하고, 장애특화 전문인력에 대해서는 지원이 없어 의료기관에 부담으로 작용한다”며 “신청이 적고, 중도 포기하는 기관도 많았다”고 밝혔다.
이에 최혜영 의원은 “2018년에도 확인됐던 문제가 2019년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진행이 미진해 2024년까지로 사업 기간을 연장했는데,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2024년 달성도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이미 지정된 기관들의 운영도 원활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9년까지 지정된 16개소 중, 인증을 받아 서비스를 개시한 곳은 단 4개소에 불과했다. 나머지 12개 기관은 미인증 단계로 여전히 시설 개보수 중이거나 보수 계획 심의 중인 상태로 머물러 있다.
최 의원은, “비장애인의 건강검진 수검률은 74%인 반면, 경증장애인은 69%, 중증장애인은 51%에 불과하다. 장애인 접근성이 확보된 기관 1개소가 아쉬운 장애인들은 기약도 없이 지체되고 있는 상황이 납득이 되질 않는다”면서 “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이 본래 계획에 맞게 확대되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의료기관에 대한 현실적인 지원책과 지정된 검진기관의 원활한 운영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2019년까지 지정된 16개소 중, 인증을 받아 서비스를 개시한 곳은 단 4개소에 불과했다. 나머지 12개 기관은 미인증 단계로 여전히 시설 개보수 중이거나 보수 계획 심의 중인 상태로 머물러 있다.
최 의원은, “비장애인의 건강검진 수검률은 74%인 반면, 경증장애인은 69%, 중증장애인은 51%에 불과하다. 장애인 접근성이 확보된 기관 1개소가 아쉬운 장애인들은 기약도 없이 지체되고 있는 상황이 납득이 되질 않는다”면서 “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이 본래 계획에 맞게 확대되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의료기관에 대한 현실적인 지원책과 지정된 검진기관의 원활한 운영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