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HOT 뉴스


조회 수 3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전사들의 노래.jpg

 

[기획연재] 장애해방운동가 생애기록 ‘전사들의 노래’

[서문] ‘시작’을 만들고 ‘다음’을 조직한 ‘전사들의 노래’

2021. 10. 05 by 강혜민 기자

 

2001년 8월 29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버스를 점거한 장애인 활동가들. 버스 위에는 “장애인도 버스를 타고 싶다!”고 적힌 현수막이 펼쳐져 있고, 버스 창문에도 “장애인도 버스 타고 싶다”는 글자가 커다랗게 적혀 있다. ⓒ장애인이동권연대 

2001년 8월 29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버스를 점거한 장애인 활동가들. 버스 위에는 “장애인도 버스를 타고 싶다!”고 적힌 현수막이 펼쳐져 있고, 버스 창문에도 “장애인도 버스 타고 싶다”는 글자가 커다랗게 적혀 있다. ⓒ장애인이동권연대 

2000년대 들어 시민사회운동은 급격한 쇠퇴기에 접어들었지만, 2001년 장애인이동권 투쟁으로 시작된 ‘변혁적 장애인운동’은 지난 20년간 놀라운 성과를 거둬들였다. 이들은 ‘장애에 대한 사회적 개념’을 이야기하며, 장애인 차별의 원인은 ‘장애가 있는 신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 있다’고 외쳤다. 즉, 휠체어 탄 사람이 버스를 타지 못하는 것은 그가 장애인이기 때문이 아니라, 휠체어 탄 사람도 탑승할 수 있는 저상버스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사회의 문제이며, 장애인이 수용시설에 살 수밖에 없는 이유는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이 살아갈 수 있는 복지서비스와 소득보장 정책 등 그 모든 것들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중증장애인들은 비장애인과 차별 없이, 평등하게 지역사회에서 한 사람의 존엄을 보장받으며 살아가기 위한 ‘그 모든 것들’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장애인운동은 이 사회의 기본값이 비장애인 중심사회라는 것을 일깨우며 사회의 기본값을 뒤흔드는 싸움을 해왔다.

그 싸움이 올해 20주년을 맞이했다. 여전히 충분하진 않지만 대부분의 지하철 역사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저상버스가 일부 도입됐다. 활동지원서비스와 장애인연금으로 장애인도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는 장애인수용시설 전면 폐쇄를 외치는 탈시설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2001년 장애인 활동가들이 사다리와 쇠사슬을 목에 걸고  지하철 철로를 점거하고 있다. 옆에는 카메라를 든 기자들이 있다. ⓒ장애인이동권연대 
2001년 장애인 활동가들이 사다리와 쇠사슬을 목에 걸고  지하철 철로를 점거하고 있다. 옆에는 카메라를 든 기자들이 있다. ⓒ장애인이동권연대 

20년간의 놀라운 변화의 시작은, 대부분의 처음이 그러하듯 초라했다. 싸움을 시작할 어떠한 종잣돈도 없던 시절, 그들이 가진 것은 고작 ‘불구’로 낙인찍힌 몸뚱아리 하나였다. 돈도 ‘빽’도 없는, 불쌍하고 때로는 ‘병신’ 취급받던 이들은 지하철 철로를 점거하고, 장애인이 탈 수 없는 버스를 낚아채서 쇠사슬로 자신의 몸을 그곳에 묶었다. 점거는 지역사회에 존재하지 않던 ‘장애인의 자리’를 만들어내는 중증장애인들의 주된 싸움 방식 중 하나였다. 그들은 “권리들을 가질 권리”를 요구하며 배제와 차별의 근거가 됐던 불구의 몸, 바로 그 신체로 세상을 향해 싸움을 걸었다.

버스를 탈 수도, 식당에 밥 먹으러 갈 수도, 학교에 배우러 갈 수도 없는 것이 차별임을 깨닫고 문제제기를 한 사람, 장애가 있는 내가 문제가 아니라 장애가 있는 사람을 배제하는 사회가 문제임을 알아챈 사람, 이는 사회 전체를 바꾸는 일이었기에 나 혼자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 내 곁의 사람들을 조직하여 함께 해야 하는 일임을 깨달은 사람. 그들이 ‘싸움의 시작’을 만들어냈다.

때론 시작을 하는 것, 그 ‘다음’을 만들어내는 것은 자연스러움이 아닌 의도된 사건이다. 그것은 의지와 결단, 우연이 겹쳐졌을 때야 가능하다. 비마이너가 올해 만난 여섯 명의 싸움꾼들(박길연, 박명애, 박김영희, 박경석, 노금호, 이규식)은 그러한 사건을 일으킨 자들이다.

비마이너는 이제까지 주로 사건을 보도해왔으나, 이제 그 ‘사건을 일으켰던 사람들’의 삶을 쫓아가 보려 한다. 이 저항서사를 통해 기록되지 않음으로써 존재하지 않는 것이 되었던 소수자들의 삶과 장애인운동사를 기록하고, “차별받은 존재가 저항하는 존재가 되는 일”(홍은전, 『그냥, 사람』)을 이 사회의 기억으로 남기고자 한다.

인터뷰이는 지난 20년간 활동해온 장애인단체 대표단들을 중심으로 성별과 지역적 안배를 고려해 선정했다. 그러나 시간과 자원의 한계로 인해 충분히 많은 이들을 만나지 못했다. 우리는 장애인운동을 만드는 많은 훌륭한 활동가들을 알고 있다. 이 기록이 ‘다음’을 초대하는 시작이 되길 바란다.

이들은 결코 홀로 존재하지 않았다. 분명 그 자신이기에 가능했던 부분들도 있었으나, 수많은 실패와 이별, 절망 속에서도 버텨낼 수 있었던 것은 함께하는 ‘동지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노라고, 고백한다. 그렇기에 이것은 지난 시간을 함께했던 동지들과 만들어낸 빛나는 ‘우리의 기록’이기도 하다. 노래로 치자면, 아름다운 하모니를 만들어내는 합창쯤 될까.

함께 함이란 다음을 만들어내는 행위이고, 이것은 나의 행위에 당신이 응답했을 때에야 가능했다. 휠체어를 굴리며, 때론 삶과 죽음의 경계선을 갈지자로 휘청이며, 비관하면서도 보다 나은 내일을 갈망했던 ‘전사들의 노래’를 시작한다.

기사 보러 가기 : https://www.beminor.com/news/articleList.html?sc_sub_section_code=S2N62

 


  1. ‘시설 민주화는 허구’ 보여준 청암재단 사태… 면담도 ‘결렬’ (비마이너, 2021.12.29.)

    ‘시설 민주화는 허구’ 보여준 청암재단 사태… 면담도 ‘결렬’ 기자명 이가연 기자 입력 2021.12.29 21:17 수정 2021.12.29 22:41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시설 민주화 노력에도 인권침해 ...
    Date2021.12.31 By성동센터 Views705
    Read More
  2. [2021년 결산] 비장애중심사회를 멈춰 세우다 (비마이너, 2021.12.28.)

    이동권 투쟁 20주년, 자립생활 권리 요구하며 버스·지하철 점거 정부의 탈시설로드맵 발표로 더욱 선명해진 탈시설의 전선 새로운 노동 개념 제시한 권리중심공공일자리, 전국화 꾀해 마스크를 끼고 두 해째 살아가고 있습니다. 2020년 12월 말, 서울 ...
    Date2021.12.31 By성동센터 Views525
    Read More
  3. ‘장애여성다움’에 가둔 그 보호는 가해였다 (한겨레21, 2021.12.19.)

    보호라는 이름으로 합리화하는 통제와 차별…가부장적, 비장애중심적 가해와 피해 인식 넘어서야 장애여성이 겪는 폭력은 일상적이며 제도적이다. 그동안 묵인돼온 차별과 불평등한 권력관계를 드러내는 것에서부터 변화는 시작된다. 연합뉴스 여성살해 ...
    Date2021.12.21 By성동센터 Views678
    Read More
  4. 출근길 5호선 장애인 시위, 다 기획재정부 탓입니다 (비마이너, 2021.12.20.)

    교통약자법 개정안 통과 가능성 커졌지만 기재부, 예산 편성 불가하다며 개정안 반대 중 “왜 ‘일반인’ 출근하는데 피해를 주는 거야? 개새끼들, 오늘 내가 다 죽여버릴 거야! 출근 좀 하자, 시발놈들아!” “민주주의 국가에서 이...
    Date2021.12.21 By성동센터 Views679
    Read More
  5. 종합조사표로 둔갑한 장애등급제, 화형에 처하다

    ‘기획재정부=설계자’, ‘보건복지부=장물아비’, ‘종합조사표=종합조작표’ 1842일의 농성을 함께한 김주영의 9주기, 그러나… 26일, 여의도 장애인권리보장법·탈시설지원법 제정을 촉구하는 농성장이 있는 이...
    Date2021.11.02 By성동센터 Views256
    Read More
  6. 죽은 김주영이 말한다 “사람 죽이는 종합조사표 개편하라”

    장애등급제 폐지 후 문재인 정부가 도입한 ‘종합조사표’ 최중증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시간 오히려 감소해 장애계 “사람 죽이는 표, 장애등급제는 폐지 안 됐다” “더는 김주영 동지 같은 황망한 죽음 없어야” “활동...
    Date2021.11.02 By성동센터 Views243
    Read More
  7. 장애해방운동가 생애기록 - 전사들의 노래

    [기획연재] 장애해방운동가 생애기록 ‘전사들의 노래’ [서문] ‘시작’을 만들고 ‘다음’을 조직한 ‘전사들의 노래’ 2021. 10. 05 by 강혜민 기자 2001년 8월 29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버스를 점거한 장...
    Date2021.11.02 By성동센터 Views301
    Read More
  8. 내년 6월 활동지원 ‘시한부’ 산정특례 종료, 대책 없는 정부(비마이너, 2021.10.06.)

    [2021 국감] 종합조사 3년 산정특례 후 대책 없어… 불안한 9710명 정부는 ‘이의신청 제도 이용하라’지만 ‘근본적인 대책 아냐’ 종합조사 개편 후 8333명, 최대 241시간 하락 하루 16시간 받는 최중증장애인은 전국 5명에 불과...
    Date2021.10.08 By성동센터 Views225
    Read More
  9.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60년 만에 폐지 아닌 ‘완화’… 현장 혼선 우려 (비마이너, 2021.10.01.)

    2020년 7월 3일, 박능후 전 복지부 장관은 중앙생활보장위원회 회의가 열린 코리아나 호텔 앞에서 “(부양의무자기준을) 2년 뒤에 폐지하는 것으로 약속하고 있다. 우리가 가는 방향은 동일하다. 시간과 시기의 문제인데, 최대한 노력해서 빨리 진행하도...
    Date2021.10.08 By성동센터 Views259
    Read More
  10. 장애인 이동권 투쟁 20주년 사진전 '버스를 타자' (전장연, 다음-카카오)

    (장애인 이동권 투쟁 20주년 사진전 다음-카카오 페이지 캡쳐) 사진전 보러가기 : https://gallery.v.daum.net/p/premium/mobilityright 혹은 사진 클릭 장애인 이동권 투쟁 20년의 기록 2001년 1월 22일 오이도역에서 휠체어리프트를 이용하던 장애인 노부부...
    Date2021.06.24 By성동센터 Views285
    Read More
  11. 2021년 4월 30일, ‘향유의집’ 폐쇄되던 날 (비마이너, 2021.05.01)

    ‘마로니에 8인’과의 동행 “한없이 커 보였던 시설이 이젠 되게 작아 보여” 사람들이 향유의집 본관 3층에서 2층으로 이어지는 경사로를 내려오고 있다. 가장 앞에는 김동림 씨가 있다. 사진 강혜민 층과 층 사이는 계단이 아닌 매끄러...
    Date2021.05.12 By성동센터 Views377
    Read More
  12. 장애인콜택시 고작 ‘17대’인데, 증차 계획 없다는 세종시

    세종시 특별교통수단인 누리 콜은 17대에 불과하다. 세종시 전체 장애인은 1만 2000명이며 이중 중증장애인은 4500명이다. 17대는 국토교통부(아래 국토부)가 정한 중증장애인 ‘150명당 1대’라는 특별교통수단 기준인 30대에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세종시는 ...
    Date2020.09.24 By성동센터 Views368
    Read More
  13. 서울시, 10월부터 ‘장애인거주시설 변환사업’ 시범사업 시행/시설 장애인 지역사회로 자립, 시설은 폐쇄 후 주거서비스기관으로

        서울시가 장애인거주시설을 새로운 주거서비스 모델로 바꾸는 ‘장애인거주시설 변환사업(아래 변환사업)’ 시범사업을 첫 시행한다. 변환사업은 거주시설에 있는 장애인이 지원주택 등 자립생활을 시작하고, 기존 거주시설은 폐쇄 후 지역사회 기반 주거서...
    Date2020.09.18 By성동센터 Views393
    Read More
  14. No Image

    확산하는 코로나19, 장애인 어디에 도움 청해야하나?

    코로나19에 걸린 장애인이 어떻게 검사를 받을 수 있는지를 점검해 보았다. 먼저 나는 영등포에 살고 있어 영등포보건소에 문의했다. 보건소 직원은 관련 전화를 많이 받아 그런지 힘이 없었고 의례적인 답만 내놓았다. 메뉴얼은 의심증상이 있으면 개인차량...
    Date2020.09.16 By성동센터 Views306
    Read More
  15. 복지부, 전국 628개소 장애인거주시설 전수조사한다

    복지부, 전국 628개소 장애인거주시설 전수조사한다 전수조사 위한 조사원 모집도, 20명 이상은 장애인 당사자로 구성 코로나19 확산 방지 위해 대면·비대면 조사 혼합 진행   등록일 [ 2020년09월09일 18시33분 ]     장애인 활동가들이 “국가 탈시설 로드맵...
    Date2020.09.15 By성동센터 Views266
    Read More
  16. 장애인 보조기기 손해보험상품 가입비 지원

    장애인 보조기기 손해보험상품 가입비 지원 이종성 의원, ‘장애인 등의 이동 편의 증진 법안’ 발의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20-09-10 09:14:37 ▲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에이블뉴스DB 장애인 등이 전동휠체어 등 보조기기‧보철구로 인한 피해보상을 담보할...
    Date2020.09.14 By성동센터 Views241
    Read More
  17. 장애인 콜 택시 감염병메뉴얼

             
    Date2020.09.11 By성동센터 Views224
    Read More
  18. 코로나 4차 추경, “장애인은 버림받았다 / 이종성 의원, 죽음 내몰지 않도록 예산 포함해야한다.

    이종성 의원, 죽음 내몰지 않도록 예산 포함해야한다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학 산으로 인한 4차 추가경정 예산안을 발표한 가운데, 장애인 당사자인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이 10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는“3차에 이어 4차 ...
    Date2020.09.11 By성동센터 Views229
    Read More
  19. 내년 정부예산안 속 장애인 관련 특색사업

    내년 정부예산안 속 장애인 관련 특색사업 발달·중증장애인 복합힐링센터, 출퇴근 비용 지원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20-09-10 14:55:33 ▲ 홍남기 기획재정부 장관이 내년 예산안을 브리핑하고 있다.ⓒ기획재정부 정부가 내년 예산안을 올해 대비 43.5조원(...
    Date2020.09.11 By성동센터 Views218
    Read More
  20. 추석 승차권 비대면 예매 장애인 우선배정

    한국철도는 명절승차권 현장발매 폐지에 대한 대책으로 인터넷과 모바일 사용이 어려운 장애인과 노인 등 IT 취약계층을 위한 예매일(9월 1일)을 별도로 마련하고 전체 좌석의 10%를 우선 배정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예매 첫날인 9월 1일에는 노인이나 장애...
    Date2020.09.11 By성동센터 Views22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